보험문의&답변

Re:다시 문의드립니다~

보험의방주 2010. 1. 26. 14:47

안녕하세요.

불꽃남자입니다.

==============================================================================================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연금저축 고민중이라고 글을 올렸었는데요,

몇가지 궁금해서 다시 문의드려요~

 

회사에서 50% 납입해주는 연금저축을 3년째 불입중인데

 입사 초기에 아무것도 모른채 여러 상품 중에서 뭐 할래? 하고 회사가 묻길래

잘 알아보지도 못하고 그냥 찍어서 가입했는데요,

그게 어떤건지 기억도 안나서 얼마전에 다시 상품을 확인했습니다.

제가 가입한 상품은 아래와 같더라구요.

 

- 푸르덴셜 투자증권의 "연금신탁" (소득공제상품)

- 계약유형: 혼합형

- 연금수령연령: 56세 (수령기간 10년)

- 수령방법 (좌수분할식)

 

그런데 궁금한것이 수령방법이 정액식 대신 좌수 분할식인데 이게 어떻게 받는지와..

혼합형이면 주식, 채권 혼합해서 하는건데 수익률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좌수분할식은 주식처럼 몇주씩 받게 되는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10주씩 받는다고 치고, 1주당 가격이 1만원이면 10만원, 5천원이면 5만원, 2만원이면 20만원씩 이렇게 좌수로 받게 됩니다.

 연금펀드의 대부분은 엠브렐러 펀드로 운용되므로,  연금수령시기에는  채권형 펀드로 전환해 놓으시고  매월받는 좌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계속해서 채권으로 운용하게 됩니다. 즉 1만좌가 있는데, 이중 100좌를 수령하면 나머지 9900 좌는 채권형 펀드로 운용이 되는 셈입니다. 채권형 펀드는 손실의 폭도 작고, 변동성이 작기 때문에 매월 수령액에 큰 변화는 없습니다.

수익률은 홈피에서 확인가능합니다. 

 

 

제가 가입당시 선택할수 있는것이

-  국민, 제일, 우리은행의 연금저축    => 방카슈랑스로 판매되는 보험사의 연금저축(소득공제)/연금보험(비과세) 또는 연금 신탁(소득공제)이겠죠.

- 푸르덴셜, 대한, 한국투자의 연금신탁 => 증권사의 연금펀드(소득공제)

- 교보, 대한, 삼성생명의 연금보험 => 보험사의 연금저축(소득공제) 또는 연금보험(비과세)

 

이렇게 총 9가지 상품이 있었는데, 각각의 특징이 어떤건지도 궁금해요.

물론 이제와서 비교하기 좀 그렇지만

현재 불입하고 있는 것 말고 연금 준비를 더 해야 할 것 같아서요.

 

 

 

참고로 제가 국민연금 관리공단 들어가서 노후재무자가진단을 해 보았더니,

50세 은퇴 가정시에 국민,개인,퇴직 연금 다 합쳐서 제가 희망하는 수준과 비교해보면

매월 13만원을 25년 동안 4.97%의 수익률로 추가 저축을 하라고 나왔습니다.

 

덧붙여서 저 정도의 수익률을 내려면, 어떤 형태로 연금을 준비하는게 좋은지도 궁금해요..

(저는 84년생입니다..입사한지 3년 꽉 채웠고요 소득은 세후 연간 4000 수준이에요

 이걸로 50세까지 일할때 퇴직금을 위에서 같이 계산해서 포함했고요..

 되도록이면 회사 그만 안두고 오래 다니는게 목표라..가능할지 모르지만..)

=> 13만원을 25년간 대략 5%의 수익률로 관리한다면,

증권사의 연금펀드나 보험사의 비과세 연금보험등...

어느것을 하셔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보험사로 선택을 하셔야 종신형 연금수령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소득공제용을 선택하신다면 종합소득과세 대상이 될수 있다는 점 또한 인지하셔서,

유지중인 소득공제용을 포함한 비과세 연금을 추가가입하신다면 원하시는 연금재원마련이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님들의 조언 부탁드릴게요~ :)

 

- 보험쟁이 카페운영자 불꽃남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