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새내기구요 소득공제용 연금저축을 친구들이 많이 들어 저도 해야하나고민되내요 소득공제받으면좋기는하나 10년이상장기불입하구 30년후에 이율이 최저보장제도로 1,5까지 내려가면 복리여도 물가상승을 제외하구 이득이되는지 연금으로받으면 소득세5.5%도 내던데......옳바른판단내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보험쟁이카페 운영자 불꽃남자입니다.
직장인 새내기가 가입하는 금융상품은 엄청나게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왜냐,,,
무턱대고 시작하면 반드시 후회를 하기 때문이죠.
연금저축을 말씀하셨으니 연금저축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연금저축은 년 400만원한도내에서 소득공제 대상이 되고(월 34만원 수준)
이제는 소득공제를 받게 되는 유일한 상품이기 때문에 가입자의 비중이 늘어나는것도 사실입니다만,
소득공제는 연봉이 기준됨이 아니라 본인의 종합소득과세표준이 기준됩니다.
과세표준구간이 최소한 1200만원이상은 발생되셔야 소득공제의 메리트를 받게 되는데,
1200만원 이상 발생하시려면 연봉기준으로 3000만원대 후반~ 4000만원대 초중반정도가 발생되셔야 합니다.
대부분의 직장인 초년생의 연봉수준보다는 높은 구간이 발생되셔야 하기 때문에 잘 확인해보시고
가입해야 되며,
만약,, 1200만원이상이 되신다면 생각하는 것보다 더 큰 메리트를 갖게 된다고 보셔도 좋습니다.
환급받는 금액을 은행의 적금수익률로 환산해보더라도 최소 년 20%이상의 수익이 발생하는 개념이므로
이보다 더 매력적이면서도 안정적인 금융상품을 찾는게 쉽지는 않죠.
- 보험쟁이 카페운영자 불꽃남자 -
'보험문의&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보험가입하려합니다. 도와주세요 (0) | 2011.05.09 |
---|---|
Re:고지사항 문의요 (0) | 2011.05.09 |
Re:갱신안되는 의료 실비 보험은 없나요? (0) | 2011.04.04 |
Re:메리츠 알파플러스 설계 조언해주세요 (0) | 2011.04.04 |
Re:자녀 목돈 어떻게 할까요 (0) | 201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