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문의&답변

Re:소득공제 연금저축과 비과세 개인연금보험중 최상의 선택은?

보험의방주 2013. 4. 3. 16:40
 여
   
 1984
   
 없음
   
 회사원
   
 30만원
   

와이프 연금을 들려고 하는데 납입기간은 10년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와이프가 현재 회사를 다니고 있는데, 연봉은 4천정도되고 5년후에는 전업주부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입장에서 이시점에서 연금을 든다면 소득공제와 비과세중 어떤 상품을 가입하는게 가장 좋을지?

종신연금, 그리고 변액연금을 많이 추천하는것 같던데, 거기에 대한 조언도 함께 부탁드립니다

어찌됐던 연금의 궁극적 목표는 와이프가 노후에 조금이라도 용돈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쟁이카페 운영자 불꽃남자입니다.

 

소득공제 연금저축과 비과세 연금보험은 연금의 목적으로 저축한다는 개념은 동일하지만,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민영복지정책(소득공제 또는 비과세혜택)이 확연히 틀리기 때문에 가입자에게

더 많은 득이 될수 있는 상품으로 선택하셔야 합니다.

 

현 조건에서는 소득공제 연금저축이 우선순위이지만,( 연봉 4000만원이면 과세표준 1200만원이상 구간 발생)

5년후 전업주부로 전향할 예정이라면 이후의 소득공제 혜택은 메리트가 전혀 없게 됩니다.

뿐만아니라, 연금소득세를 부담해야되는 페널티를 받기 때문에 결국 비과세 연금보험을 가입하시는게 더 유리합니다.

 

만약,,

10년이상 장기근속이 가능하고, 소득역시 꾸준히 발생하신다면

연금저축이 1순위가 맞지만,(소득공제로 환급받는 금액은 예적금이율로 30%가 넘는 큰 메리트입니다.)

소득공제로 환급받지 못한다면(소득미발생, 과세표준 구간 미충족)

비과세 혜택이 더 유리합니다.

 

종신연금은 모든 연금보험의 수령방법중 하나이며,

연금수령 방법은 종신형, 확정형, 상속형등이 있으나 지금 고민할 부분은 아닙니다.

연금을 수령할 시점에 원하시는 방법으로 신청가능하며, 이러한 제도가 있다는 것 정도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 보험쟁이카페 운영자 불꽃남자 -